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13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31개 세 글자:320개 네 글자:286개 다섯 글자:145개 여섯 글자 이상:237개 모든 글자:1,120개

  • : (1)앵무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여덟 개의 각. (2)붓순나뭇과의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는 3~5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에 윤기가 있고 특이한 향기가 난다. 3~4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꽃줄기가 나와 녹색을 띤 노르스름한 꽃이 피는데 꽃잎이 가늘고 길어서 꽃받침과의 구별이 정확하지 않다. 열매는 골돌과(蓇葖果)로 8~12개가 사슬 모양으로 열리어 9월에 익으며 독이 있다. 나무 껍질과 열매는 향료용으로 쓴다. 산기슭의 따뜻하고 습한 땅에 저절로 나는데 한국의 진도ㆍ완도ㆍ제주도,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음양설에서, 갑(甲), 을(乙), 병(丙), 정(丁),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여덟 방위.
  • : (1)‘팔순’의 북한어.
  • : (1)병증을 분석하고 진단하는 데에 기본이 되는 음(陰), 양(陽), 허(虛), 실(實), 표(表), 이(裏), 한(寒), 열(熱)의 여덟 가지. (2)법화경 여덟 권을 아침저녁에 한 권씩 나흘 동안 독송하고 공양하는 법회. (3)운동 경기 따위에서, 예선이나 십육강에서 승리하여 올라온 여덟 개 팀이나 선수. (4)‘팔강전’을 줄여 이르는 말.
  • : (1)중국 전설에 나오는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才子). 창서(蒼舒), 퇴개(隤敱), 도연(檮戭), 대림(大臨), 방강(尨降), 정견(庭堅), 중용(仲容), 숙달(叔達)을 이른다.
  • : (1)고대의 미술 이론에서, 그림이 갖추어야 할 여덟 가지 격조를 이르던 말.
  • : (1)다른 정도가 엄청남. (2)엄청나게 다른 모양.
  • : (1)어떤 지역에서 뛰어나게 아름다운 여덟 군데의 경치. 중국의 샤오샹(瀟湘) 팔경에서 유래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관동 팔경ㆍ단양 팔경 따위가 있다.
  • : (1)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와 여자가 육재일에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계행(戒行). 중생을 죽이지 말 것, 훔치지 말 것, 음란한 짓을 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술 먹지 말 것, 꽃다발을 쓰거나 몸에 향을 바르고 구슬로 된 장식물을 하지 말며 노래하고 춤추지 말 것, 높고 넓으며 잘 꾸민 평상에 앉지 말 것, 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이다.
  • : (1)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병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른다. (2)고(顧)는 선덕(善德)을 베풀어 사람을 돌보아 준다는 뜻으로, 중국 후한 영제(靈帝) 때의 여덟 사람의 명사(名士)를 이르는 말. 곧 곽태(郭泰), 범방(范滂), 윤훈(尹勳), 파숙(巴肅), 종자(宗慈), 하복(夏馥), 채연(蔡衍), 양척(羊陟)을 이른다.
  • : (1)여덟 가지의 곡식. 벼ㆍ보리ㆍ기장ㆍ조ㆍ밀ㆍ콩ㆍ팥ㆍ깨, 또는 벼ㆍ보리ㆍ기장ㆍ피ㆍ수수ㆍ조ㆍ깨ㆍ콩을 이른다.
  • : (1)금강계 만다라에서 내공양(內供養)의 네 보살과 외공양의 네 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여덟 가지 한방 치료 과목. 어른, 소아, 부인, 안목(眼目), 구치(口齒), 외과, 침, 안마(按摩)를 이른다.
  • : (1)중국 상고 시대에 복희씨가 지었다는 여덟 가지의 괘. <주역>에서 세상의 모든 현상을 음양을 겹치어 여덟 가지의 상으로 나타낸 [건(乾)], [태(兌)], [이(離)], [진(震)], [손(巽)], [감(坎)], [간(艮)], [곤(坤)]을 이른다.
  • : (1)여덟 방위의 멀고 너른 범위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 (1)천태종에서, 화의 사교와 화법 사교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그 수량이 여덟이나 아홉임을 나타내는 말. (2)‘십상팔구’의 북한어. (3)여덟 방위의 구역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를 이르는 말.
  • : (1)팔의 위아래 마디가 붙은 관절의 바깥쪽. ⇒규범 표기는 ‘팔꿈치’이다. (2)‘팔꿈치’의 북한어.
  • : (1)여덟 방위의 멀고 너른 범위라는 뜻으로, 온 세상을 이르는 말.
  • : (1)중국 청나라 때에, 군대를 기(旗)의 빛깔에 따라 여덟으로 나눈 군제(軍制). 처음에 만주족으로 조직하였다가 태종 때에 몽골족, 한족으로 확대하여 24기로 만들었다. (2)‘포기’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기’로도 적는다.
  • : (1)‘팔꿈치’의 방언
  • : (1)‘팔꿈치’의 방언
  • : (1)‘팔꿈치’의 방언
  • : (1)‘팔짱’의 방언
  • : (1)‘팔짱’의 방언
  • : (1)여덟 가지의 괴로움이나 어려움. 배고픔, 목마름, 추위, 더위, 물, 불, 칼, 병란(兵亂)을 이른다. (2)부처를 보지 못하고 불법을 듣지 못하는 여덟 가지의 장애와 어려움. 재지옥(在地獄), 재아귀(在餓鬼), 재축생(在畜生), 재장수천(在長壽天), 재울단월(在鬱單越), 맹롱음아(盲聾瘖瘂), 세지변총(世智辯聰), 불전불후(佛前佛後)의 어려움이다. (3)수계(受戒) 따위를 행할 때에 줄여서 간단히 함을 허락하는 여덟 가지의 어려운 일. 왕난(王難), 적난(賊難), 화난(火難), 수난(水難), 병난(病難), 인난(人難), 비인난(非人難), 독충난(毒蟲難)이다.
  • : (1)값을 받고 물건이나 권리 따위를 남에게 넘기거나 노력 따위를 제공하다. (2)사람을 돈을 받고 물건처럼 거래하다. (3)주의를 집중하여야 할 곳에 두지 아니하고 다른 데로 돌리다. (4)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무엇을 끌어다가 핑계를 대다. (5)옳지 아니한 이득을 얻으려고 양심이나 지조 따위를 저버리다. (6)돈을 주고 곡식을 사다. (7)‘시집보내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다’로도 적는다.
  • : (1)길이 팔방으로 통하여 있음. (2)모든 일에 모르는 것이 없이 정통함.
  • : (1)‘팔때기’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닷’으로도 적는다.
  • : (1)팔의 뼈대라는 뜻으로, ‘팔뚝’을 이르는 말. (2)고대 중국의 오제(五帝)와 삼왕(三王)의 세상.
  • : (1)여덟 가지의 덕.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충(忠), 신(信), 효(孝), 제(悌)를 이른다.
  • : (1)우리나라 전체를 이르는 말. (2)조선 시대에, 전국을 여덟 개로 나눈 행정 구역.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를 이른다.
  • : (1)팔의 바깥쪽.
  • : (1)작고 탄력 있게 뛰는 모양. (2)심장이나 맥이 작게 뛰는 모양. (3)갑자기 성을 내는 모양. (4)갑자기 힘 있게 일어나는 모양.
  • : (1)화투 노름에서, 여덟 끗짜리 두 장을 잡은 끗수.
  • : (1)‘팔뚝’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똑’으로도 적는다.
  • : (1)‘팔짱’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똥’으로도 적는다.
  • : (1)‘아래팔’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2)‘위팔’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 (1)신분이나 지위 따위를 나타내기 위하여 팔에 두르는 표장(標章).
  • : (1)고대 로마 여성들이 몸에 감아 입는 옷. 직사각형, 원형, 반원형의 커다란 천이다.
  • : (1)바람에 가볍고 빠르게 나부끼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1)바람에 가볍고 힘차게 나부끼는 모양. (2)나비나 나뭇잎 따위가 가볍게 날아다니는 모양. (3)‘팔랑거리다’의 어근.
  • : (1)호텔에서, 스위트 침대에 붙어 있는 응접실을 이르는 말.
  • : (1)조선 시대에, 전국을 여덟 개로 나눈 행정 구역. 강원도,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를 이른다. (2)주동작에 따라 보조로 작용하는 동작. ⇒규범 표기는 폴로이다. (3)방송에서 다음 출연자의 차례. ⇒규범 표기는 ‘폴로’이다. (4)촬영물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기법. ⇒규범 표기는 ‘폴로’이다.
  • : (1)‘팔’의 방언
  • : (1)리카르도 팔마, 페루의 작가(1833~1919). 새로운 역사 문학을 개척하였으며, 식민지 시대의 역사적 사실이나 구전(口傳)으로부터 소재를 취한 ≪페루 전설집≫으로 유명하다. (2)에스파냐 마요르카(Mallorca)섬 서남쪽 기슭에 있는 항구 도시. 포도주 무역과 요업, 보석 가공업이 성하며, 중세의 유적이 많다.
  • : (1)중국인들이 자기 나라의 남방에 있는 여덟 이민족을 미개한 야만인으로 여겨 낮잡는 뜻으로 이르던 말. 구지(狗軹), 담이(儋耳), 방척(旁脊), 천축(天竺), 천흉(穿胸), 초요(僬僥), 파종(跛踵), 해수(咳首)를 이른다.
  • : (1)작고 단단한 돌 따위를 손에 쥐고, 팔을 힘껏 흔들어서 멀리 내던짐. 또는 그런 물건.
  • : (1)팔의 힘.
  • : (1)올로프 팔메, 스웨덴의 정치가ㆍ수상(1927~1986). ‘군축과 안전 보장 문제에 관한 독립 위원회’의 위원장을 지내면서 군축 실현을 위하여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다가 반대파에게 암살당하였다.
  • : (1)여러 방면. 또는 여러 측면. (2)여덟 개의 평면.
  • : (1)여덟 개의 모. (2)여러 방면. 또는 여러 측면. (3)친어머니 이외에 복제(服制)의 구별이 있는 여덟 어머니. 적모(嫡母), 계모(繼母), 양모(養母), 자모(慈母), 가모(嫁母), 출모(出母), 서모(庶母), 유모(乳母)를 이른다.
  • : (1)팔과 손이 잇닿는 팔의 끝부분. (2)수투(數鬪) 놀이를 하는 도구. 또는 그것으로 하는 놀이. 사람, 물고기, 새, 꿩, 노루, 별, 말, 토끼 따위를 그린 80장의 투전을 이른다. (3)고려 시대에, 목사가 다스리던 여덟 곳의 지방 행정 구역. 현종 9년(1018)에 둔 것으로, 광주ㆍ충주ㆍ청주ㆍ진주ㆍ상주ㆍ전주ㆍ나주ㆍ황주를 이른다.
  • : (1)음양이나 점술에 능한 사람이 구궁에 맞추어서 길흉을 점치는 여덟 문(門). 휴문(休門), 생문(生門), 상문(傷門), 두문(杜門), 경문(景門), 사문(死門), 경문(驚門), 개문(開門)을 이른다.
  • : (1)사방(四方)과 사우(四隅)의 여덟 방위.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을 이른다. (2)여러 방향. 또는 여러 방면. (3)건(乾), 감(坎), 간(艮), 진(震), 손(巽), 이(離), 곤(坤), 태(兌)의 여덟 방향.
  • : (1)‘마고자’의 방언
  • : (1)음양가(陰陽家)에서, 구궁의 하나인 ‘토성’을 이르는 말. 그 근본 자리는 간방(艮方)으로 동북쪽이다.
  • : (1)땅ㆍ물ㆍ불ㆍ바람의 네 가지 큰 요소와 빛ㆍ냄새ㆍ맛ㆍ느낌의 네 가지 작은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모든 법을 나눈 여덟 가지. 교(敎), 이(理), 지(智), 단(斷), 행(行), 위(位), 인(因), 과(果)를 이른다. (3)병을 치료하는 여덟 가지 방법. 한법(汗法), 토법(吐法), 하법(下法), 화법(和法), 온법(溫法), 청법(淸法), 소법(消法), 보법(補法)이 있다.
  • : (1)사직(社稷), 지기(地祇)의 제향(祭享)에서 강신악을 여덟 번 연주하는 일.
  • : (1)마태복음 5장 3절 이하에 있는 예수의 산상 설교 속의 말. 곧 심령이 가난함, 애통함, 온유함, 의에 주리고 목마름, 긍휼히 여김, 마음이 청결함, 화평케 함,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음의 여덟 가지로, 이런 사람은 행복하다고 하였다.
  • : (1)‘김기진’의 호. (2)함경남도 신흥군과 홍원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681미터.
  • : (1)사천왕에 딸린 여덟 귀신. 건달바(乾闥婆), 비사사(毘舍闍), 구반다(鳩槃茶), 아귀, 제용중, 부단나(富單那), 야차(夜叉), 나찰(羅刹)이다. (2)‘팔삭둥이’의 방언 (3)‘팔푼이’의 방언
  • : (1)십체의 하나. 예서(隸書) 이분(二分)과 전서(篆書) 팔분(八分)을 섞어서 장식적인 효과를 낸 서체로, 중국 한(漢)나라 채옹이 만들었다고 한다.
  • : (1)‘자유형’의 북한어.
  • : (1)‘팔뼈’의 방언
  • : (1)팔과 손을 이루는 뼈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여덟 가닥의 실로 꼰 노끈.
  • : (1)음력 팔월 초하룻날. 이날 농가에서는 그해 햇곡식을 처음으로 벤다.
  • : (1)사람 얼굴 생김새의 여덟 가지 모양. 위(威), 후(厚), 청(淸), 고(古), 고(孤), 박(薄), 자(慈), 속(俗)이 있다. (2)부처가 중생을 제도하려고 이 세상에 나타내 보인 여덟 가지 상(相). 대승 불교에서는 종도솔천퇴상(從兜率天退相)ㆍ입태상(入胎相)ㆍ주태상(住胎相)ㆍ출태상(出胎相)ㆍ출가상(出家相)ㆍ성도상(成道相)ㆍ전법륜상(轉法輪相)ㆍ입열반상(入涅槃相)을 이르고, 소승 불교에서는 종도솔천하상(從兜率天下相)ㆍ탁태상(託胎相)ㆍ출생상(出生相)ㆍ출가상ㆍ항마상(降魔相)ㆍ성도상ㆍ전법륜상ㆍ입열반상을 이른다. (3)팔괘의 상(象). 건(乾)은 하늘(天)에, 곤(坤)은 땅(地)에, 감(坎)은 물(水)에, 이(離)는 불(火)에, 간(艮)은 산(山)에, 태(兌)는 못(澤)에, 손(巽)은 바람(風)에, 진(震)은 천둥(雷)에 해당한다.
  • : (1)중국 진나라 때에 쓰던 여덟 가지의 서체. 대전(大篆), 소전(小篆), 각부(刻符), 충서(蟲書), 모인(摹印), 서서(署書), 수서(殳書), 예서(隷書)이다. (2)≪사기(史記)≫의 지류(志類)를 여덟 가지로 분류한 책. 예서(禮書), 악서(樂書), 율서(律書), 역서(曆書), 천관서(天官書), 봉선서(封禪書), 하거서(河渠書), 평준서(平準書)를 이른다.
  • : (1)세속을 초월한 생활과 기이한 행동으로 유명한 중국 한(漢)나라의 여덟 사람. 종리(鍾離), 장과로(張果老), 한상자(韓湘子), 이철괴(李鐵拐), 조국구(曹國舅), 여동빈(呂洞賓)과 남채화(藍采和), 하선고(何仙姑)의 두 여선(女仙)이 있다. 중국의 민간 전승이나 문학에서 자주 오르내렸으며 원나라 때부터 그림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다. (2)중국 촉(蜀) 지방에서 득도하여 신선이 되었다고 하는 여덟 사람. 용성공(容成公), 이이, 동중서, 장릉, 장군평(莊君平), 이팔백(李八百), 범장생(范長生), 이주선생(爾朱先生)을 이른다. (3)중국 당나라 때에 시와 술을 사랑한 여덟 명의 시인. 특히 두보(杜甫)의 <음중팔선가>에 나오는 하지장, 왕진(王璡), 이적지(李適之), 최종지(崔宗之), 소진(蘇晉), 이백, 장욱, 초수(焦遂)의 여덟 사람을 이른다. (4)중국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고족제자(高足弟子)인 여덟 명의 도사(道士). 좌오(左吳), 이상(李尙), 소비(蘇飛), 전유(田由), 모피(毛披), 뇌피(雷被), 오피(伍被), 진창(晉昌)을 이른다. (5)일본에 전해진, 네 사람이 추는 고구려의 탈춤. 또는 그 음악. 탈은 파란색을 칠한 사람 얼굴에 새의 부리를 하고 부리는 금색 방울을 실끈으로 매어 물었으며 누런 눈을 가지고 있다.
  • : (1)황금의 품질을 10등급으로 나누었을 때의 셋째 등급. (2)사직(社稷), 지기(地祇)의 제향(祭享)에서 강신악을 여덟 번 연주하는 일. (3)삼국 시대 후기에, 백제를 지배하였던 여덟 귀족의 성(姓). 해(解), 사(沙), 연(燕), 협(劦), 진(眞), 국(國), 백(苩), 목(木)을 이른다. (4)일본의 율령 체제에서, 태정관 아래에 두어 실무를 맡아보던 여덟 관아. 중무성(中務省)ㆍ식부성(式部省)ㆍ치부성(治部省)ㆍ민부성(民部省)ㆍ대장성(大蔵省)ㆍ형부성(刑部省)ㆍ궁내성(宮内省)ㆍ병부성(兵部省)을 이른다.
  • : (1)팔을 내흔드는 짓. (2)고대 중국의 오제(五帝)와 삼왕(三王)의 세상.
  • : (1)팔목에 끼는, 금ㆍ은ㆍ옥ㆍ백금ㆍ구리 따위로 만든 고리 모양의 장식품.
  • : (1)살풀이춤에서, 두 팔을 부드럽게 머리 위로 올리는 춤사위. (2)말 나이의 여덟
  • : (1)여든 살.
  • : (1)나이가 여덟 살 된 말
  • : (1)남에게 보시하는 여덟 가지. 수지시, 포외시, 보은시, 구보시, 습선시, 희천시, 요명시, 위장엄심등시이다.
  • : (1)법상종에서, 여덟 가지 인식 작용을 이르는 말. 안식(眼識), 이식(耳識), 비식(鼻識), 설식(舌識), 신식(身識)의 오식(五識)과 의식(意識), 말나식(末那識), 아뢰야식(阿賴耶識)을 이른다.
  • : (1)곡물을 주관하는 여덟 종류의 신. 백곡을 주관하는 신, 농신(農神), 우정신(郵亭神), 밭을 파헤치는 두더지를 잡아먹는 고양이 신, 호랑이 신, 제방신(堤防神), 도랑의 신, 곤충의 신이 그것이다.
  • : (1)팔뚝의 힘.
  • : (1)십의 여덟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여든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여든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연기나 먼지 따위가 몽치어 한 번 가볍게 일어나는 모양. (2)맥없이 가볍게 내려앉거나 주저앉는 모양. (3)배아의 몸통에서 돌출하여 장차 팔이 되는 부분. 중간엽으로 구성된 치밀한 덩어리를 상피가 덮고 있다.
  • : (1)‘팔월’의 방언
  • : (1)매우 뜨거운 불길로 고통받는 여덟 지옥. 등활지옥, 흑승지옥, 중합지옥, 규환지옥, 대규환지옥, 초열지옥, 대초열지옥, 무간지옥을 이른다.
  • : (1)‘팔월’의 방언
  • : (1)고대 중국의 전설에 나오는 고신씨(高辛氏)의 여덟 재자(才子). 백분(伯奮), 중감(仲堪), 숙헌(叔獻), 계중(季仲), 백호(伯虎), 중웅(仲熊), 숙표(叔豹), 계리(季狸)를 이른다.
  • : (1)한 해 열두 달 가운데 여덟째 달.
  • : (1)고려 시대에 중앙에 둔, 이군(二軍)과 육위(六衛)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공자가 죽은 뒤에 갈라진 유학의 여덟 학파. 자장씨(子張氏), 자사씨(子思氏), 안씨(顔氏), 맹씨(孟氏), 칠조씨(漆雕氏), 중량씨(仲良氏), 손씨(孫氏), 악정씨(樂正氏)를 이른다.
  • : (1)부처가 지닌 여덟 가지 특색 있는 음성. 극호음, 유연음, 화적음, 존혜음, 불녀음, 불오음, 심원음, 불갈음을 이른다. (2)악기를 만드는 재료에 따라 나눈, 아악(雅樂)에 쓰는 여덟 가지 악기. 또는 그 각각의 소리. 여덟 악기는 재료에 따라서 금부(金部), 석부(石部), 사부(絲部), 죽부(竹部), 포부(匏部), 토부(土部), 혁부(革部), 목부(木部) 따위로 나뉜다.
  • : (1)중국 당나라 때에, 형벌을 덜어 주던 여덟 가지 조건. 의친(議親), 의고(議故), 의현(議賢), 의능(議能), 의공(議功), 의귀(議貴), 의근(議勤), 의빈(議賓)을 이른다.
  • : (1)사람의 한평생의 운수. 사주팔자에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해와 달과 날과 시간을 간지(干支)로 나타내면 여덟 글자가 되는데, 이 속에 일생의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본다. (2)한자(漢字)의 ‘팔’이라는 글자의 모양.
  • : (1)두 손을 각각 다른 쪽 소매 속에 마주 넣거나, 두 팔을 마주 끼어 손을 두 겨드랑이 밑으로 각각 두는 일. ⇒규범 표기는 ‘팔짱’이다.
  • : (1)선정(禪定)을 방해하는 여덟 가지 법(法). 희(喜), 우(憂), 고(苦), 낙(樂), 심(尋), 사(伺), 출식(出息), 입식(入息)이다. (2)‘팔자’의 방언
  • : (1)임자(壬子)에서 계해(癸亥)까지의 12일 중에서 축(丑), 진(辰), 오(午), 술(戌)의 나흘을 뺀 여드레 동안을 이르는 말. 임(壬), 계(癸)는 다 물의 뜻으로, 이 동안에 비가 많이 온다고 하며 한 해 동안에 여섯 차례가 있다.
  • : (1)여덟 번 꺾은 것이라는 뜻으로, 전지(全紙)를 세 번 접어서 여덟 장으로 나눔을 이르는 말. (2)한 해 동안에 있는 이십사절기 가운데 여덟 절기(節氣).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추분, 입동, 동지를 이른다. (3)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가 도를 닦는 데에 중요한 여덟 가지를 설명한 글. 한시 형태의 여덟 구절로 된 글이다. 여덟 가지는 사물을 밝게 아는 길, 덕을 아는 길, 생명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를 아는 길, 도를 깨닫는 길, 지극한 정성을 아는 길, 공경을 하는 방법, 두려움을 멀리하는 길, 참다운 마음을 가지는 길로, 자기 성찰과 수행을 통하여 참다운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 (1)색계(色界)의 사선정(四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사공정(四空定).
  • : (1)칠조 중 여섯 번째 가락. 평조와 계면조에서 청황종을 으뜸음으로 한다.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9개) : 파, 팍, 팎, 판, 팔, 팝, 팟, 팡, 팣, 팤, 팥, 패, 팩, 팬, 팸, 팽, 퍄, 퍅, 퍼, 퍽, 펀, 펄, 펌, 펏, 펑, 펕, 페, 펙, 펜, 펨, 펭, 편, 폄, 평, 폐, 포, 폭, 폰, 폴, 폼, 폽, 폿, 퐁, 퐃, 퐄, 퐅, 푀, 푄, 표, 푱, 푸, 푹, 푼, 풀, 품, 풋, 풍, 퓸, 퓽, 프, 플, 픤, 피, 픽, 핀, 필, 핌, 핍, 핑

실전 끝말 잇기

팔로 끝나는 단어 (133개) : 칠팔, 바른팔, 긴팔, 펜팔, 보팔, 곰배팔, 외팔, 화이트 오팔, 사금팔, 신호나팔, 반팔, 뛰뛰나팔, 모멘트의 팔, 사치팔, 골배팔, 손나팔, 누팔, 윗둔덕 팔, 끈나팔, 아랫둔덕 팔, 왼팔, 폰팔, 팔팔, 균형팔, 곰백팔, 입나팔, 네팔, 무수이팔, 밥팔, 눈까팔 ...
팔로 끝나는 단어는 1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팔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13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